국제 표준/ISO 291192025. 2. 26. 07:50

ISO/IEC/IEEE 29119 가 뭔지 알아보았어요

 

https://testmanager.tistory.com/427

 

테스트 문서 관리/계획/현황/완료/테스트케이스/보고서 템플릿 예시(문서첨부)와 작성 방법 알아

# 테스트 관련 문서 작성하는 이유가 뭘까요?  테스트 문서 관리와 관련하여 여러 가지 문서를 작성하는 이유는 프로젝트의 효율성과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입니다. 1. 테스트 

testmanager.tistory.com

 

https://testmanager.tistory.com/359

 

ISO/IEC/IEEE29119-4 테스트 기법 살펴보니..

KS X ISO/IEC/IEEE29119-4 https://e-ks.kr/streamdocs/view/sd;streamdocsId=72059199000121302 동등 분할(Equivalence Partitioning) 분류 트리 기법(Classification Tree Method) 경계값 분석(Boundary Value Analysis) 구문규칙 테스팅(Syntax test

testmanager.tistory.com

ISO/IEC/IEEE 29119는 소프트웨어 테스트를 위한 국제 표준으로, 소프트웨어 품질 보증을 향상시키기 위한 일련의 가이드라인과 프로세스를 제공합니다.

이 표준은 소프트웨어 테스트의 원칙, 프로세스, 문서화, 기법 등을 체계적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총 다섯 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ISO/IEC/IEEE 29119의 구성

부분제목주요 내용

 

부분 제목 주요 내용
제1부 개념 및 정의 소프트웨어 테스트의 기본 개념과 용어 정의
제2부 테스트 프로세스 테스트 계획, 관리, 수행에 대한 프로세스 모델 제시
제3부 테스트 문서화 테스트 문서의 형식과 내용에 대한 지침 제공
제4부 테스트 기법 정적 및 동적 테스트에 사용되는 다양한 기법 설명
제5부 키워드 기반 테스트 테스트 자동화를 위한 키워드 기반 접근 방법 소개

 

 

제1부: 개념 및 정의

이 부분은 소프트웨어 테스트와 관련된 핵심 용어와 개념을 명확하게 정의합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테스트 활동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제2부: 테스트 프로세스

테스트 계획 수립부터 실행, 평가까지의 전체 프로세스를 상세히 설명합니다. 이 프로세스 모델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됩니다.

  • 테스트 계획: 목표 설정, 자원 할당, 일정 수립
  • 테스트 모니터링 및 제어: 진행 상황 추적, 문제 관리
  • 테스트 분석 및 설계: 테스트 조건 식별, 테스트 사례 설계
  • 테스트 구현 및 실행: 테스트 환경 구축, 테스트 실행
  • 테스트 종료: 결과 보고, 문서화, 교훈 정리

 

 

제3부: 테스트 문서화

효과적인 테스트를 위해 필요한 다양한 문서의 작성 방법과 예제를 제공합니다. 주요 문서로는 테스트 계획서, 테스트 설계 명세서, 테스트 절차서, 테스트 결과 보고서 등이 있습니다. 표준화된 문서화를 통해 테스트의 재현성과 투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제4부: 테스트 기법

테스트의 효율성과 효과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기법을 소개합니다.

  • 정적 테스트 기법: 코드 리뷰, 워크스루, 인스펙션 등을 통한 결함 발견
  • 동적 테스트 기법: 경계값 분석, 결정 테이블, 상태 전이 테스트 등을 통한 실행 기반 테스트

 

 

제5부: 키워드 기반 테스트

테스트 자동화의 생산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키워드 기반 접근 방식을 설명합니다. 이 방법은 키워드로 정의된 테스트 동작을 조합하여 테스트 스크립트를 생성함으로써 복잡한 테스트 시나리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합니다.

 

 

ISO/IEC/IEEE 29119의 중요성

  • 국제 표준 준수: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는 품질 수준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테스트 프로세스 개선: 체계적이고 일관된 프로세스를 통해 효율성을 높입니다.
  • 커뮤니케이션 강화: 표준화된 용어와 문서화를 통해 팀 내외부의 의사소통이 원활해집니다.
  • 품질 향상: 결함 발견율 증가와 재작업 감소로 전반적인 소프트웨어 품질이 향상됩니다.

 

고려 사항

  • 유연한 적용: 조직의 규모나 프로젝트 특성에 맞게 표준을 적절히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교육 및 훈련: 표준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 관련 직원들의 교육과 역량 강화가 필요합니다.
  • 연계 표준 활용: ISO 9001, ISO/IEC 25000 시리즈 등 다른 품질 관련 표준과 함께 적용하면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ISO/IEC/IEEE 29119는 소프트웨어 테스트 분야에서 종합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여 품질 보증 활동을 체계화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지속적인 표준 준수와 프로세스 개선을 통해 높은 수준의 신뢰성과 품질을 가진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Posted by 프리스케이터